728x90
1. 산술 연산자 : +, -, *, /, %
var num1= 15;
var num2= 2;
console.log('+연산자 :', num1 + num2);
console.log('-연산자 :', num1 - num2);
console.log('*연산자 :', num1 * num2);
console.log('/연산자 :', num1 / num2);
console.log('%연산자 :', num1 % num2);
2. 문자열 연산자
var str1 = '한국스마트';
var str2 = "정보교육원";
var num3 = 10;
var num4 = '1000';
var result = str1 + str2;
console.log('문자열 연산자1 : ', result);
console.log('문자열 연산자2 : ', str1 + '정보교육원');
console.log('문자열 연산자3 : ', '한국스마트' + '정보교육원');
console.log('문자열 연산자4 : ', result + num3);
console.log('문자열 연산자5 : ', num3 + num4);
3. 대입 연산자 : 값을 대입한다. 뒤에 연산자 있으면 연산이 먼저되고 대입에 의해서 대입된다.
=, -=, +=, *=,/=,%=
var n1 = 10; //기본적인 대입방식
var n2 = 20;
n2 += n1; // n2 = 20 + 10;
console.log('대입연산자 1 ', n1);
console.log('대입연산자 2 ', n2);
4. 증감 연산자 : 증감 연산자는 선증가 후증가 선감소 후감소가 있다. 이 연산자는 해당 기호를 만났을 시, 1씩 감소 혹은 증가 시킨다.
var a = 10;
var b = 20;
var c = b++;
var d = ++b;
console.log('증감연산자 후 증가', c);
console.log('증감연산자 선 증가', d);
a++; //a + 1 증가 ;
console.log('증감연산자 후 증가', a); //대입 없기 때문에 그냥 증가 답11
a++;
a++;
a++;
console.log('증감연산자 후 증가', a); //답 14
5. 비교 연산자 : 참 또는 거짓의 결과값을 반환한다.
true or false의 논리형 데이터 반환(boolean type)
>, <,>=,<=,==,!=
A > B A는 B보다 크다.
A > B A는 B보다 작다.
A >= B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.
A <= B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.
A == B A와 B는 같다.
A != B A와 B는 같지 않다.
A === B A와 B는 값과 자료형이 같다.
A !== B A와 B는 값과 자료형이 모두 같지 않다.
//문자열 비교하기
var str1 = '한국';
var str2 = '한국';
var str3 = '교육원';
var str4 = '한국교육원';
console.log('str1 == str2 : ', str1 == str2);
console.log('str1 != str2 : ', str1 != str2);
console.log('str1 == str3 : ', str1 == str3);
console.log('str1 + str3 == str4 : ', str1 + str3 == str4); //연산이 먼저 우선순위 그리고 비교
if(str1 + str3 != str4){
console.log('위의 문자열 연산자의 값이 같습니다.');
}else{
console.log('위의 문자열 연산자의 값이 틀립니다.');
}
//숫자비교
var n1 = 10;
var n2 = 20;
var n3 = 30;
var n4 = 11;
var result = 0; //변수 선언할 때 초기값을 0으로 할때 0으로 선언됨, 초기화 시킨다고 표현 하니까 기억! ^~<!
console.log('n1 > n2 : ', n1 > n2);
console.log('n1 < n2 : ', n1 < n2);
console.log('n1 + n2 == n3 : ', n1 + n2 == n3);
console.log('n1 <= n4 : ', n1 <= n4);
if(n1 < n2){//우선 순위 조건 판단
result = n1 + n2;
}else if(n1 + n2 == n3){//우선 순위 조건이 맞지 않을 시 후 조건 판단
result = n1 + n2 + n3;
}else{//위의 조건이 모두 거짓일때
result = n1 - n2;
}
console.log('숫자 비교 후 연산 결과 : ', result);
6. 논리 연산자 : 비교 연산자를 결합하여 and, or로 판단하여 논리 타입으로 결과값을 반환
&& - and
|| - or
! - not
true && true -> true
true && false -> false
true || false -> true
false || false -> false
!true -> false
var n1 = 10;
var n2 = 20;
var n3 = 30;
console.log('n1 < n2 && n1 < n3 : ',n1 < n2 && n1 < n3);
console.log('n1 < n2 && n1 > n3 : ',n1 < n2 && n1 > n3);
console.log('n1 < n2 || n1 < n3 : ',n1 < n2 || n1 < n3);
console.log('n1 < n2 || n1 > n3 : ',n1 < n2 || n1 > n3);
console.log('n1 > n2 || n1 > n3 : ',n1 > n2 || n1 > n3);
console.log('n1 < n2 not : ',!(n1 < n2) );//우선순위로 괄호 안에 있는 연산자가 먼저 실행된다.
if(n1 < n2 && n1 < n3){
console.log('n1 < n2 && n1 < n3 :',' 참입니다.');
}else{
console.log('n1 < n2 && n1 < n3 :',' 거짓입니다.');
}
7. 삼항 연산자 : 간단한 조건식을 표현 할 때 주로 쓰인다. 조건식 ? 값 : 값;
var str = 10 == 10? '참입니다.' : '거짓입니다.';
console.log('삼항 조건문의 의한 결과값 : ', str);
자바에서는 잘 사용 되지 않음
반응형
'Frontend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script 반복문 (0) | 2020.03.09 |
---|---|
java script 연산자 실습 (0) | 2020.03.09 |
java script 객체 (0) | 2020.03.09 |
javascript 변수 선언 (0) | 2020.03.05 |
javascript 기초 (0) | 2020.03.05 |
댓글